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부동산시장 제1절 부동산시장 1. 시장의 개념과 형태 1) 시장의 개념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계속 적으로 나타나 상품의 가격이 정해지고 윤형량이 정해지는 장소 및 거래 과정을 말한다. 이처럼 시장은 사는 쪽인 수요자와 파는 쪽인 공급자가 모여 거래하는 장소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노동시장, 외환시장처럼 장소를 뜻하는 것이 아닌 추상적인 시장도 있다. 2) 시장 형태의 구분기준과 종류 (1) 시장 형태의 구분기준 시장 형태는 크게 완전경쟁시장과 불완전경쟁시장으로 나뉘며, 불완전경쟁시장은 독점/과점독점적 경쟁시장으로 나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장 형태를 구분하는 기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상품의 수요자와 공급자의 수가 많으냐 적으냐이다. 그 수가 많을수록 시장은 경쟁적이고, 적을수록 경쟁적이지 않.. 2022. 7. 24.
부동산경기변동 (순환적 변동) 2. 부동산경기변동 (1)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및 특징 -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ㄱ. 부동산경기는 일반적으로 건축경기를 말한다. 그중에서도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지칭하는데, 이를 협의의 부동산경기라 한다는 광의의 부동산경기는 공업용 / 상업용 / 부동산경기를, 최광의 부동산경기는 토지경기를 포함한다. ㄴ. 부동산경기도 일반경기처럼 순환변동, 추세변동, 계절변동, 불규칙변동으로 나타난다. ㄷ. 순환적 변동의 관점에서 본다면 부동산경기변동이란 부동산시장이 일반 경기변동처럼 상승과 하강 국면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다만, 부동산시장은 여러 개의 부분 시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양한 시장경기를 대표하는 부동산경기라는 용어도 조심스럽게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ㄱ. 부동산경기는.. 2022. 7. 20.
부동산의 경기변동이론 제2절 부동산의 경기변동이론 1. 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과 물가 (1) 물가 - 가격 :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의 각각의 값이다. - 물가 :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의 가격을 중요도에 따라 가중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이다. 물가와 화폐 구매력 및 소득의 관계 1 - 물가 변동의 효과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의 가치, 즉 화폐의 구매력은 감소하며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면 실질소득은 감소한다. 반면 물가가 하락하면 화폐의 가치(화폐의 구매력)는 증가하고,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면 실질소득은 증가한다. 2 - 물가와 화폐의 가치(화폐 구매력) 관계 물가가 오르면 화폐의 가치, 즉 화폐의 구매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화폐의 가치와 물가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3 - 물가와 실질소득 소득이 일정할 때 물가가.. 2022. 7. 18.
부동산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4.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1) 개념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즉, 가격의 변화라는 자극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에 대한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를 '탄력성'이라고 한다. - 만일 같은 금액의 가격이 올랐을 때 A의 수요량은 1단위가 감소하지만 수요량은 2단위가 감소한다면, 가격 변화에 대해 B의 수요가 A의 수요에 비해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단정할 수 있을까를 고려해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우선 A와 B의 측정 단위가 다르다면 단순 비교를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초의 가격수준이나 수요량 수준도 문제가 된다. 만일 같은 가격 .. 2022.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