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착오의 종류 2. 착오의 종류 (1) 동기의 착오 -의의 : 동기란 의사표시를 하게 된 연유를 말하고, 동기의 착오란 의사 형성과정에서 착오, 즉, 의사표시에는 착오가 없고 의사표시를 하게 된 동기에만 착오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법적 취급 : 동기는 의사표시의 내용이 아니므로 원칙적으로 동기의 착오를 이유로 해서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없다. 다만, 동기가 표시되고 제109조의 요건을 갖추는 경우에는 취소할 수 있다(다수설 판례). -동기의 착오로서 취소를 부정한 판례 ㄱ. 우사를 짓기 위해 토지를 매수하였으나 우사를 지을 수 없는 경우(대판 1984.10.23, 83다카1187) ㄴ 공장에 쓰려고 토지를 매수하였으나 그린벨트 지역인 경우 (대판 1997.4.11, 96다31109). -상대방으로부터 유발된 동기의.. 2022. 7. 12.
통정허위 표시 2) 통정허위 표시 제108조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는 무효로 한다. -전항의 의사표시의 무효는 선의의 제삼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1. 의의 (1) 갑이 자신 채권자의 강제집행을 회피하기 위하여 친구인 을과 짜고 자기 소유의 건물에 대해를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 준 경우처럼 의사와 표시가 불일치하는 것을 표의자도 알고 상대방도 알면서 외관 창출에 대하여 합의(양해)가 있는 경우를 통정허위표시라 한다. (2) 통정이란 표 희지가 진의 아닌 의사표시를 하는 것을 상대방이 알고 있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상대방과의 합의 또는 양해를 의미한다. 2. 구별개념 (1) 은닉행위 -은닉행위란 가장행위 속에 감추어진 행위를 말한다. 은닉행위는 허위표시의 일종이나, 보통의 .. 2022. 7. 11.
준물권행위 - 재산권 (3) 준물권행위 -준물권행위란 물권 이외의 권리의 변동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준물권행위에는 채권양도, 채무면제, 지식재산권의 양도가 있다. -준물권행위도 처분행위에 해당하므로 이행의 문제를 남기지 않는다. 참고 지식재산권의 종류 1. 산업재산권 :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실용신안권, 지리적 표시 등 2. 저작권 : 저작재산권, 저작인격권, 저작인접권 3. 신지식재산권 : 산업저작권, 첨단산업재산권, 정보재산권 보충 - 무권한자(무권리자)의 처분행위 1. 의의 : 갑 소유의 건물에 대하여 을이 이를 자기 이름으로 병에게 매도한 것 처처럼 타인의 물건 또는 권리를 자기의 이름으로 처분하는 것을 무권리 한자의 처분행위라 한다. 2. 처분행위의 요건 : 물권행위와 준물권행위처럼 처분행위가 .. 2022. 7. 11.
권리변동의 모습 제4절 권리 변동의 모습 1. 권리변동의 원인 1) 법률사실과 법률요건 및 법률효과 (1) 일정한 법률사실이 모여 법률요건을 구성하고, 법률요건에 해당하면 반드시 일정한 법률효과가 발생한다. (2) 이 떄 법률 요건을 이루는 개개의 사실을 법률사실이라 하고, 권리변동의 원인을 법률요건이라 하며, 권리변동의 결과를 법률효과라 한다. 2. 구체적인 예 (1) 법률행위의 예 -갑이 자기가 소유하는 건물에 대하여 을과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를 보자. 먼저 갑은 자신의 건물을 1억원에 팔 테니 사라고 의사표시를 하고 이에 대하여 을은 좋다. 1억원에 사겠다는 의사표시를 하게 된다. 이렇게 갑은 청약의 의사표시와 을의 승낙 의사표시가 합치하면 갑과 을 사이에는 매매라는 계약이 성립하고 매매계약이 성립하면 갑은 을.. 2022. 7. 11.